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

[24 상반기 취업성공] 삼성전자 DS CTO_반도체연구소 공정설계 합격 후기 안녕하세요. 우선 별 볼것 없는 제 블로그에 와주셔서 감사합니다..사실 이 블로그는 제가 대학원 진학을 염두하고 물리,전자공학 전공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하려고 만든 블로그인데, 바빠서 게시물도 올리지 못했네요. 대학원은 포기하고 취업준비를 했는데 삼성전자에 합격했습니다. 직무는 반도체연구소 공정설계입니다. 취준을 올해부터 시작했는데 반년밖에 안걸렸네요.(곧 건강검진을 받으러 갑니다..) 다른 기업은 ASML, 하이닉스, DB하이텍 등 썼는데 다 서탈하거나 면탈했습니다. 저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저는 물리학을 전공했고 전기전자공학을 복수전공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반도체 기업으로의 취업을 준비했고요. 학점은 전체평점 3 후반이지만 물리, 전기전자 전공은 각각 4 초반입니다. 스펙은 외부교육 몇개 수강,.. 2024. 6. 14.
[고전역학] 0. 차원과 단위 고전역학을 배우기 앞서, 우리는 물리학에서의 차원(Dimension)과 단위(Unit)을 알아야합니다. 모든 물리량은 다른 단위로 표현될 수 없는 기본량이 있습니다. 이것을 차원이라고 하는데, 무슨 말인지 잘 감이 안오신다면... 예를 들어, 질량의 대표적인 단위는 kg이 있는데 이를 m, s 등으로 나타낼 수 없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각 물리량끼리 더하거나 빼는 경우는 해당 물리량의 차원이 반드시 같아야합니다. 먼저 세가지 기본적인 물리량들은 질량(mass), 시간(time), 길이(length)가 있는데, 질량는 $\mathsf{[M]}$, 시간은 $\mathsf{[T]}$ , 길이는 $\mathsf{[L]}$ 로 나타냅니다. 과학에서 SI 단위계를 기본 단위계로 사용하는데 kg(킬로그램), m(미터.. 2024. 1. 15.
블로그를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의 한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중이고, 복수전공으로 전자공학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곧 졸업합니다.) 평소에 제 전공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공부하며 구글에서 찾아본 많은 멋있는 블로그처럼 저도 제 블로그를 하나 만들어서 제가 배웠던 지식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고 싶었어요. 일단 블로그의 제목을 "물방개구리의 우물"이라고 지은 이유는, 저는 아직도 모르는게 많고 배울게 많은 우물안 개구리라는 생각을 종종 했고, 샤워하다가 양자역학에서 배우는 케이스 중 하나인 infinite potential well problem (particle in a box problem 이라고도 부릅니다.)이 생각나서 지어봤습니다. 지금은 조금 바쁜 시기라, 일단 블로그만 만들어 놓고 제대로된 활동은.. 2023. 11. 16.